Gene Therapy
introduction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AAV 기반 유전자치료제 전문기업

Gene Therapy

Pipeline Overview

퇴행성 골관절염 치료제
ICM-203

제품소개

ICM-203는 관절강 내로 국소투여 되어 전신노출의 리스크를 최소화시킨 유전자치료제로서 퇴행성관절염의 표적 조직인 연골세포와 활막세포에서 치료유전자를 발현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CM-203의 퇴행성관절염 치료효능은 다양한 전임상 모델에서 검증되었으며, 이와 같은 질환제어 기능은 ICM-203의 1) 관절연골 보호, 2) 활막염증 억제 및 3) 골극조직 생성 저해 활성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전임상 연구 및 임상시료 생산이 완료된 ICM-203는 현재 호주에서 임상시험(1/2a상)이 진행 중이고, 2022년 10월 미국 1/2a 임상시험계획(IND)에 대한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 임상정보
    • 호주 1/2a상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NCT04875754)
  • 질환정보
    •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은 노화, 외상, 염증에 의해 점진적으로 연골이 소실되며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무릎, 고관절 및 어깨 등에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임. 주요증상으로는 연골소실, 골극형성, 관절협착 등이 나타나며 특히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경우 심한 통증으로 보행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 전세계 골관절염 환자수는 5.3억 명 (출처: global burden of disease 2020, IHME)으로 추산되며, 고령화와 밀접한 질환으로서 고령화에 따라 유병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골관절염은 질병의 진행정도에 따라 4단계의 Kellgren-Lawrence Grading Scale (이하 K&L grade)로 분류되는데, Grade 1에서는 소염진통제 또는 스테로이드, 히아루론산 주사를 이용하여 통증을 경감시켜 주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정도가 심해진 Grade2, 3, 4에서도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동일한 약물적 치료를 사용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용량을 증량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하여 사용합니다.
    • Grade 4의 경우는 약물만으로는 치료가 어려워 인공관절치환술(Knee Replacement)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거나, 연골의 급성 파열 또는 Grade 1~3의 환자를 대상으로 미세골절술(미세천공술, 연골재생술, 연골성형술), 관절경 시술 등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기존의 약물치료와 관절치환술 사이의 미충족수요가 크기 때문에 효과 좋은 진통제를 개발하거나, 아니면 근본적으로 골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